2024 |
- 2024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7개 프로그램
- 2024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 과정 진행 : 2개 종목
- 2025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 과정 신청 : 1개 종목
-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3차년도 수행
|
2023 |
- 2023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7개 프로그램
- 2023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 과정 진행 : 2개 종목
-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2차년도 보고서 및 3차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2023 영남대학교 컨소시엄 미래형 이동수단 인증서 발급 : 83명
-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2차년도 평가결과 계속
|
2022 |
- 2022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
- 2022 공학교육인증중간 방문평가 : 3개프로그램
- 2022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 과정 2개 종목 신청 및 선정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최종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제출
-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사업신청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컨소시엄 주관대학 선정
- 2022 영남대학교 컨소시엄 미래형 이동수단 인증서 발급 : 39명
-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1차년도 평가결과 우수
|
2021 |
- 2021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
- 2021 공학교육인증신규 방문평가 : 2개프로그램
- 2021 YU Innovator 인증 이수자 : 40명
- 2021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21명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9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10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9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10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20 |
- 2020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 (예비인증포함)
- 2020 YU Innovator 인증 이수자 : 38명
- 2020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19명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8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9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8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9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9 |
- 2019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13개 프로그램 (예비인증포함)
- 2019 공학교육인증정기 방문평가 : 9개프로그램
- 2019 YU Innovator 인증 이수자 : 24명
- 2019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18명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7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8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7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8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8 |
- 2018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3개 프로그램 (예비인증포함)
- 2018 YU Innovator School 인증 이수자 : 29명
- 2018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23명
- 2018 2단계 3기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
「C4 창의∙융합 Engineering Innovator 양성 선도사업」선정 (구,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)
- 2018 2단계 3기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
「창의 융합형 Good 엔지니어 양성」선정 (구, 공학교육혁신사업)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6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7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6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7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7 |
- 센터 이전 : 기계관 352-1호
- 2017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5개 프로그램 (예비인증포함)
- 2017 YU Innovator 인증 이수자 : 48명
- 2017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22명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5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6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5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6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2017 공학교육인증 자체평가보고서
|
2016 |
- 2016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
- 2016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
- 2016 YU Innovator 인증 이수자 : 27명
- 2016 K-Innovator School 수료자 : 29명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4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5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4차 년도 연차보고서 및 5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2016 공학교육인증 자체평가보고서 제출
|
2015 |
- 2016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
- 2015 2단계 2기 공학교육혁신거점지원사업 선정
- 2015 2단계 2기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 선정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3차 년도 보고서 및 4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3차 년도 보고서 및 4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4 |
- 2014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 협약 체결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2차 년도 보고서 및 3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차 년도 보고서 및 3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3 |
- 2013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
- 2013 공학교육인증 자체평가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단계 2차 년도 시행
- 공학교육거점센터 사업 1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2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1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2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|
2012 |
- 2013 공학교육인증평가 신청 : 10개 프로그램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사업신청서 제출
- 공학교육거점센터사업 사업신청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단계 1차 년도 시행
- 공학교육거점센터사업 2단계 1차 년도 시행
|
2011 |
- 2011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4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5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4차 년도 추진실적보고서 제출
- 2011년 인증평가 결과 통보
|
2010 |
- 2011년 인증평가 신청 : 12개 프로그램
- 2011년 공학교육인증 자체평가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3차 년도 추진실적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3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4차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3차 년도 사용실적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4차 년도 협약 체결
|
2009 |
- 2010년 인증평가 신청 : 12개 프로그램
- 프로그램 운영지침 개정
-
공학교육인증자 배출
-
건설공학 1명, 건축공학 25명, 기계시스템공학 53명, 기계설계공학 45명, 첨단기계공학 27명, 신소재공학 4명, 전기공학 2명, 전자공학 4명, 컴퓨터공학 6명, 정보통신공학 5명, 디스플레이화학공학(응용화학공학) 54명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차 년도 추진실적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3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3차 년도 협약 체결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차 년도 사용실적 보고서 제출
|
2008 |
- 2009년 인증평가 신청 : 12개 프로그램
- 부속공학교육혁신센터 규정 개정
- 프로그램 운영지침 개정
- 2009년 공학교육인증 자체평가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인증자 배출
건축공학 10명, 기계공학 108명, 디스플레이화학공학(응용화학공학) 56명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1차 년도 추진실적보고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1차 년도 중간보고서 및 2차 년도 사업계획서 제출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2차 년도 협약 체결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1차 년도 사용실적보고서 제출
|
2007 |
- 2007년 공학교육인증 방문평가
- 2007년 공학인증 14일 대응서 제출
- 2007년 공학교육인증 예비논평서 접수
- 프로그램 운영지침 개정
- 2007년 논평대응서 제출
- 2007년 인증평가 결과 통보
- 기존 3개 프로그램-“인증”
- 신규 8개 프로그램-“예비인증”
- 부속공학교육혁신센터규정 개정
- 공학교육인증자 배출
건축공학 4명, 기계공학 90명, 디스플레이화학공학(응용화학공학) 29명
-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선정 및 협약 체결
|
2006 |
- 공학교육인증지원시스템 구축
-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명칭 변경 및 부속기관으로 정식기구화
- 전임연구원 3명 선임
- 공학교육인증자 배출
(기계공학부 83명,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16명, 건축학부 4명)
- 2007년 인증평가 신청 : 11개 프로그램
(신규 : 8개 프로그램, 계속 : 3개 프로그램)
- 공학교육혁신센터 규정 정비
- 센터 이전 : 생산기술 연구원 103호
|
2005 |
- 공학교육인증자 배출 : 기계공학부 49명,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6명
- 기계공학부,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중간평가
|
2004 |
- 최초 공학교육인증자 배출 : 기계공학부 16명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4명
- 공과대학 8개, 섬유패션학부 2개 전공 인증체제 운영
주요사업
- 평가방법 연구 “문헌조사, 해외파견조사 등을 통한 평가방법 연구”
- 각 전공별 인증준비 작업 지속 : 설문조사실시, 연차 보고서 작성
|
2003 |
- 9월 1일 공학교육인증지원센터 설립(공대본관 106호)
설립목적 :
공학교육인증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개발, 평가 및 조정 활동을 지원하고 공식적인 대외 창구 역할 담당
기존인증전공 :
건축공학전공, 기계공학부, 응용화학공학부 (2001년도 시범인증 획득)
주요사업
- 성과예산사업 “ABEEK인증을 대비한 공학교육 내실화 사업”
- ABEEK 전공별 홈페이지, 인터넷으로 졸업생 설문작업 실시 시스템
- 센터자체연구사업수행 “공학교육인증을 위한 평가 절차 문서화
“ACL 교과과정 개발”
- 산학과 기획예산사업 “Complex 공학교육시스템 구축
|